1970년대 우리나라의 조국근대화론은 새마을 운동으로 확산되어 사회전반에 거쳐 많은 영향을 남겼다. 특히 1970년대 후반 농촌에서 전개된 농촌주택 개선사업과 마을 취락구조 개선사업은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중앙정부의 일방적 지침에 의해 이루어진 전시행정의 표본이었다. 자연에 순응하며 흩어져 있던 가옥들은 과시적 개발주의와 파시즘적 공간 생산방식에 의해 근대화, 세계화라는 표어 아래 집단화되고 획일화되었다. 돌담과 초가지붕은 블록 벽과 슬레이트지붕의 개량 한옥으로 바뀌었으며 특히 군과 도의 경계에 있으면서 국도나 철도 200미터 가시권 내에 있던 마을들은 소위 비둘기집이라 불리는 세련된 이태리식 최첨단 양옥으로 교체되었다. 독재정부의 독단적인 개발 방식으로 인하여 한국농촌의 근대화, 세계화는 그 고유한 뜻이 사라지고 서구의 새로운 것이 한국의 오래된 것을 대체하는 형국으로 변해갔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근대화전략은 서구사회의 근대화 모델을 준거로 한 이른바 ‘추격근대화전략’으로 규정 될 수 있으며 모방과 획일화로 인한 정체성의 상실이라는 한국적 근대성은 전근대-근대-후근대 등의 다양한 시간대가 섞여있는 잡종적 형체(Hybrid configuration)로 그 특수성을 표상 할 수 있겠다.
1970년대 후반 정부에 의해 세계화와 근대화의 원형으로 일방적으로 제시되었던 새마을 농촌주택들이 30여년의 시간의 흐름과 함께 지방화와 전통이 접합하여 새로운 형체들로 변화하고 있다. 나의 관심은 Global(세계화, 근대화)적 이념과 Local(지방적, 전통적)적 특수성이 결합하여 탄생한 농촌가옥에서 출발한다. 잡종적 형체의 기이한 공간을 Global과 Local의 혼성어인 Glocal site라는 이름으로 공간-문화적 의의를 부여하였다.
획일적으로 제시되었던 원형의 모습들이 세월이 흐르는 동안 가옥소유자의 취향이나 경제력 등의 요인으로 다양하게 변화되고 있다.
이태리식 양옥집의 빨간 기와지붕은 보전상의 불편함과 유지비의 부담으로 인하여 값싸고 편리한 한옥식의 컬러 강판 지붕으로 교체되고 이때 다시 생겨난 용머리에는 주술적 의미의 전통적 기호들이 부활하였다(부귀를 상징하는 목단꽃, 신분상승을 기원하는 용矓, 발복을 기원하는 복福). 경제력을 획득한 부농이 새 주택을 건축하면서 온갖 사치스런 재료와 다양한 이국적 건축양식을 도입하였음에도 지붕의 용머리 기와에는 여전히 용矓이 있고 현관문에는 장생불사를 염원하는 소나무나 학 등의 십장생의 문양이 새겨져 있다. 오래된 전통한옥의 기와지붕을 빨간색과 파란색의 찬란한 컬러강판지붕으로 교체한 가옥의 마당에 들어서면 마치 70세의 할머니의 최신 유행의 노란색 염색머리를 연상시킨다. 농촌마을의 대표적인 소통과 개방의 공간인 정자에는 그 내부에 T.V나 선풍기등의 전자제품 몇 개가 있다는 이유로 셔터를 설치하여 패쇄적인 공간으로 변모하고 있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공간 확보가 가능한 컨테이너의 상단에 한옥스타일의 멋들어진 지붕을 올려 일회성의 공간에 영속성을 부여한 컨테이너 주택이 등장하였다.
전통은 항상 재구성된다. 재구성되는 배경에는 당대의 요구가 숨어있다. 나는 이러한 다양한 문화와 시간대가 혼재되어있는 잡종적 공간인 Glocal site의 채집을 통하여 새마을 운동 이 후 새롭게 형성되어가고 있는 농촌 경관의 전통과 그 뒤에 숨어있는 이 시대의 원형적 경관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싶다.
이정록 / 2006
With the theory of modernization of our country in the 1970s spreading out into the New Community Movement [Saemaeul Movement], it had a lot of effect on society in general. Particularly, the farming house & its settlement structure improvement project, which were developed in the late 1970s, was a specimen of a show window administration achieved by the central government’s one-sided guidelines without taking local characteristics into account. The farming houses scattered here and there complying with nature were collectivized and standardized under the slogan of modernization and globalization based on ostentatious doctrine of development and fascist space production method. Stone walls and thatched roofs were switched to the appearance of an improved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equipped with brick walls and slate roofs. Particularly, the villages located within a two-hundred-meter visibility range from national roads or railways and lying on the border between county and province were replaced with the most advanced refined Italian Western-style house-what is called-a pigeon house. Due to the arbitrary method of development by the dictatorial government, the modernization and globalization of Korean farming houses, with the meaning proper to the Korean farming house disappearing, were turned into the situation where something new in the West took place of something old in Korea. In general, the modernization strategy of Korea goes by the modernization model of the Western society, which could be prescribed as, so-called, "Strategy in implicit pursuit of modernization", and the Korean characteristic of modernization-loss of its identity-arisen from simulation and standardization could be, in its extraordinary sense, represented as Hybrid configuration in which various time zones, such as pre-modern times-modern times-post-modern times-are mixed.
However, the Saemaeul Movement-based farming houses, which were one-sidedly suggested as a prototype of globalization and modernization by the government during the late 1970s, have been changing into new configurationswith the junction of localization and tradition together with the time flow of thirty years or so. This researcher’s concern begins with the farming houses created by the ties between the global idea and local distinctiveness.
This researcher gives a spatial-cultural significance to the eccentric space with hybrid configuration by the name of Glocal site-a hybrid name mixed with "Global" and "Local."
The aspects of the prototype suggested monolithically are changing in variety due to the taste or economic strength of a house proprietor with the stream of time.
Red tile roofs of an Italian-style house are replaced with inexpensive, easy color steel plate roofs to an Korean style house due to the inconvenience of preservation and burden of maintenance costs and on subsequently revived dragon heads re-appeared traditional signs having incantation-based meanings [a peony flower symbolizing wealth and fame, dragon supplicating the rise of social status, and bliss praying for a change of fortune]. With the construction of a new residence by a rich farmer obtaining economic strength, all sorts of luxurious construction materials and multifarious exotic architectural styles have been introducednevertheless, there still exist a dragon on dragon head-shaped tiles on the roof, and on the porch, patterns of ten creatures symbolic of eternal longevity, such as pine trees or cranes aspiring to eternal life are engraved.
Entering a courtyard of a house whose tiled roofs of a time-honored traditional Korean-styled house have been replaced with blue splendid color steel plate roofs, it reminds its viewers of just a seventy-year-old woman’s yellow dyed hair in recent vogue. A pavilion, a space for typical communication and opening in rural villages is transforming itself into a closed space with the installation of shutters just because there are some electronic appliances, such as TV or electric fan, etc. in there. Besides, there appears a container house, on top of which, available to security of space with a low cost, permanence is given to the one-time space by putting up a fashionable roof of Korean-style house.
Tradition is always re-organized. In the background which is re-organized hide the desires of the contemporary period. This research, through the collection of Glocal sites- a hybrid space- mixed with such diverse cultures and time zones, wants to throw a question about the tradition of rural scenery and the prototyped landscape of this period lying in the back of it.
Lee, Jeong lok / 2006